![]() |
주곶감축제 평가 용역 보고회 개최 |
이번 보고회는 KT 및 고려대학교 디지털혁신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상주곶감축제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통신 데이터, 소비 데이터 및 SNS 데이터를 활용하여 방문객 특성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 곶감축제 분석 결과, 2025년 상주 곶감축제의 전체 방문객 수는 약 111,100명으로 전년 대비 51.1% 증가했으며, 특히 주말 평균 방문객 수가 22.2% 증가하여 약 30,800명을 기록했다.
현지 방문객은 76,300명으로 62.7% 증가했고, 외지 방문객 역시 34,800명으로 30.6% 증가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 데이터 분석에서는 축제 기간 중 지역 내 소비 매출이 약 28억 9천만 원에 달했으며, 유입 관광객에 의해 약 8억 3천만 원 규모의 소비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증가한 수치로, 축제에 따른 지역 경제 파급 효과는 약 8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축제에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방문객 비율이 약 19.8%를 차지하여, 전년 대비 4.7%p 증가했다.
특히 KTX 연계 여행 상품 등의 정책 효과가 반영되고 상주시의 적극적인 홍보 전략 및 SNS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축제에서는 프로그램 확대와 겨울 체험 즐길거리, 먹거리 등은 방문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
이번 분석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축제와 연계된 부대시설 소비 증가 현상이다.
축제 기간 동안 교통·숙박·여행 관련 소비 금액이 직전 주 대비 104.4% 증가하며 관광 소비 시너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과 소매업 매출 역시 각각 13.8%, 9.6% 증가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상주시는 이번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축제 기획에 활용할 계획이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곶감 푸드 개발, 글로벌 관광 상품화, 지역 유튜버와 협업한 콘텐츠 제작 등을 통해 곶감축제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일 예정이다.
또한, 통신 및 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축제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과학적 행정을 강화할 방침이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이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곶감축제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축제 기획을 통해 상주곶감 축제가 대한민국 대표 겨울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김경철 기자 jsako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