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노 광주광역시의원 “디즈니랜드 유치, 군공항 부지 국제관광 허브로 활용하자”
검색 입력폼
광주광역시

이명노 광주광역시의원 “디즈니랜드 유치, 군공항 부지 국제관광 허브로 활용하자”

군공항 부지, 세계적 테마파크 중심지로 재탄생

광주광역시의회 이명노 의원(서구3)
[한국시사경제저널]광주광역시의회 이명노 의원(서구3)은 광주 군공항이 이전될 경우를 전제로, 그 예정 부지 중 절반(약 120만 평)을 활용해 디즈니랜드급 초대형 테마파크 유치를 제안하며 지역 관광산업의 대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240만 평에 달하는 부지를 획일적으로 일반 분양하기보다, 절반은 글로벌 콘텐츠 유치에 무상 제공하고, 나머지 절반은 프리미엄 부지로 전환해 광주 재정과 도시 활력 모두에 실질적인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특히 해당 부지의 입지 조건이 전국적으로 유일하다는 점을 들어 타당성을 부각했다”. “광주의 주요 관문인 KTX 송정역이 2027년 개통 예정인 무안국제공항 철도와 직접 연결될 예정이며, 이 송정역은 전국 고속철도망과 직결돼 있다”며, “철도·공항·도심 접근성을 모두 갖춘 상태에서 100만 평 이상의 대규모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은 전국 어디에도 없다”고 말했다.

광주는 이미 연간 1,000만 명 이상 관광객이 찾는 도시임에도, 대형 체류형 콘텐츠의 부족으로 인해 관광 소비의 체류율과 재방문율이 낮은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디즈니랜드급 테마파크는 광주를 단순 경유지에서 글로벌 목적지 도시로 바꾸는 강력한 앵커 콘텐츠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특히 해당 프로젝트가 실현될 경우, 1만 명 이상의 직접 고용, 4~5만 명에 달하는 간접 고용 유발, 연간 2조 원 이상의 관광 소비 효과, 도심 외곽 부지의 분양가 2~3배 상승, 그리고 무엇보다 ‘광주=디즈니랜드·AI·문화’라는 도시 브랜드의 재정립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단순한 부지 매각이 아니라, 미래 도시 비전의 구심점을 심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그는, “디즈니랜드가 들어서면 인근 부지는 관광·상업·문화·교육이 어우러진 고부가가치 복합지구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미국 플로리다 올란도, 중국 상하이, 프랑스 파리 외곽 등 디즈니랜드가 유치된 이후 도시 자체가 재설계된 해외 사례를 제시하며”, “이 같은 모델이 광주에서도 현실이 된다면, 도시의 구조와 정체성, 산업 생태계까지 바꾸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소앙 기자 jsakor@naver.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