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광양만권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략 논의 본격화
검색 입력폼
광양

광양시, 광양만권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략 논의 본격화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공동 출범

광양만권 철강산업 위기대응 전략 논의
[한국시사경제저널]광양시는 4월 3일 전라남도, 순천시와 함께 광양만권소재부품지식산업센터에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발족식을 열고, 광양만권 철강산업의 위기 대응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공동 대응에 나섰다.

이번 협의체는 미국의 철강 고율 관세(25%) 부과, 중국의 기술력 강화와 저가 공세, 국내 철강 수요산업의 침체 등 복합적인 대내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됐으며, 광양시를 비롯해 전라남도, 순천시, 산업계, 학계, 유관기관, 정치권 등 지역 사회가 폭넓게 함께한다.

협의체는 박창환 전라남도 경제부지사가 위원장, 김기홍 광양시 부시장, 정광현 순천시 부시장, 소영호 전라남도 전략산업국장이 부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포스코 광양제철소, 현대제철(주), 동아스틸(주), ㈜SNNC, 한화오션에코텍(주), ㈜성원, 중앙이엠씨(주), 티와이파우들러(주), ㈜메가플랜텍 등 철강 관련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다.

이외에도 경제 관련 기관·단체장, 도·시의회 의원 등 총 28명이 참여해 ▲ 철강산업 위기대응 정책자문과 정부 공동 건의 ▲ 기업 애로사항·규제발굴 ▲ 신규사업 발굴·제안 ▲ 강연·세미나 공동 개최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2025년 4월부터 철강산업 위기 종료 시까지 운영되며, 정기회의는 격월로, 필요 시 수시로 개최하는 유연한 체계를 통해 현안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다.

발족식은 ▲ 위기대응 협의체 발족 경과 보고 ▲ 국내외 산업동향, 전망 및 수요조사 결과 발표 ▲ 위기대응 전략 논의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경과보고에서는 트럼프2기 행정부의 철강 고율 관세 부과 등 대외 리스크 확대에 따라, 광양만권 철강산업이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전라남도와 광양시, 순천시가 공동으로 민관 협의체 구성을 기획하게 된 배경과 추진 과정이 상세히 소개됐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라남도와 광양시, 순천시는 실효성 있는 대응을 위해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의 정식 출범에 합의했고, 협의체는 향후 광양만권 산업의 생존전략과 미래 전환을 주도할 실행 주체로 기능하게 된다.

박창환 전라남도 경제부지사는 “전남 GRDP의 23%를 차지하는 철강산업이 최근 대내외 여건 악화로 산업 전반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며, “포스코를 비롯한 대기업, 중견기업은 물론 중소협력업체의 어려움도 매우 크므로 포스코에서 협력사를 포용하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끝으로 “전남도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임성기 중앙이엠씨(주) 대표는 “대기업의 생산 축소와 포스코 발주 물량 감소로 중소기업 수주가 크게 줄고 있으며, 후판 가격 인상까지 겹쳐 제조원가가 상승하면서 경영 부담이 한층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 차원의 지원사업 확대와 함께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할 수 있는 물가 연동제 도입 등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홍정의 (사)한국철강협회 본부장은 “중국발 위기가 이어지고 있지만, 동시에 탈중국화 흐름은 국내 철강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철강산업은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공정한 시장 환경만 마련된다면 반등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와 국회가 수출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철강협회도 업계의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화엽 광양시 미래산업국장은 “광양시 산업구조와 유사한 포항시의 경우 산업위기가 발생되면 즉각적으로 포항시, 경북도, 지역 국회의원이 똘똘 뭉쳐 관련 법률 재개정과 실질적 지원을 이끌어내는 사례가 많다.”라며 “이번 철강산업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협의체에서 건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국회 토론회, 대선 지역공약 반영 등 유효하고, 적절한 지원전략을 지자체, 기업, 정치권이 공동으로 구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의 어려움을 일시에 해소하기 어려운 만큼, 당장 필요한 단기지원책, 중장기 지원책을 구체적으로 구분해 건의하는 새로운 접근법도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재)전남테크노파크의 철강기업 대상 심층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광양만권 철강기업의 57%가 올해 매출 감소를 예상하고 있으며, 주요 애로사항은 ▲ 고객 수요 감소(32%) ▲ 원자재 가격 상승(29%) ▲ 기술개발 부담(1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이 2025년 수출 감소를 전망하고 있으며, 환율 변동성, 세계 경기 둔화, 중국발 공급 과잉 등이 리스크로 지적됐다.
정소앙 기자 jsakor@naver.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