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해보면 3·1 만세탑 광장에서 진행된 4.8 만세운동 추모식 및 재현행사 모습 |
함평군은 9일 “4·8 만세운동 추모식 및 재현행사가 지난 8일 해보면 문장리 3·1만세탑 광장과 문장 장터 일대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4・8 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4월 8일 장날을 맞아 애국지사 24명이 함평보통학교 학생들과 함께 벌인 항일운동으로, 이후 만세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킨 도화선이 된 역사적 사건이다.
행사는 106주년을 맞아 선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함평군이 주최하고 해보면 청년회가 주관해 마련했다. 앞서, 군은 7일에는 만세운동 발원지인 월야면 낙영재에서 재례행사를 하며 선열들의 넋을 위로했다.
행사에는 이상익 함평군수, 이남오 함평군의회 의장, 김남용 전남서부보훈지청장을 비롯해 애국지사 24명의 유족, 주민, 학생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보면사무소에서부터 3·1만세탑까지 가두행진을 벌이며 4·8 만세운동의 의의를 되새겼다.
특히, 관내 초·중·고등학생 400여 명이 해보면 청년회에서 제작한 굿즈 태극기 스카프를 휘날리면서 시가행진에 참여했으며 학생 대표 남녀 8명이 독립선언문을 낭독하는 등 호국정신을 계승하는 뜻깊은 교육의 시간이 됐다.
또한, 참석자들은 두루마기와 갓을 착용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당시 일본 헌병 분소를 기습했던 장면을 재현하며 독립운동의 열기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상익 함평군수는 “조국을 위해 한 몸 바쳤던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뜻을 모두의 가슴에 새겨졌길 바란다”며 “숭고한 정신을 받들어 굳건한 함평을 만들기 위해 더욱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함평군은 올해 광복80주년을 맞이하여 애국선열에 대한 추모와 독립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일강김철기념관과 4.8만세운동기념관 일원에 무궁화 테마동산을 조성하고 있다.
4·8만세 운동을 주도한 애국지사는 이인행, 김기택, 장효섭, 정용섭, 김용현, 김재혼, 이윤상, 정재남, 모재명, 김여옥, 이양범, 이상준, 장덕화, 장태중, 이계동, 최준달, 모양춘, 주승환, 이인덕, 김원태, 정재식, 윤의병, 민정태, 장연안 등 24 명이다.